실컷 먹어도 살

실컷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나올까 국내 연구팀 개발

실컷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나올까 국내 연구팀 개발

실컷 먹어도 살 안찌는 약 나올까 국내 연구팀 개발

호수에서 수영하다 코로 들어온 이것 때문에 사망

식사량과 상관 없이 체중 감량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팀은 뇌 속의 별모양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에서

지방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직접 개발한 신약인 ‘KDS2010′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체중 감량을 위해 굶으면 지방조직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 분비량이 줄어든다.

이러면 측시상하부는 렙틴에 의해 억제받던, 식욕을 높이는 물질인 ’뉴로펩타이드 Y‘의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식욕이 증가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지방대사 조절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먼저 측시상하부에서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GABA)’ 수용체를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가브라(GABRA)5’를 발견했다.

비만 쥐를 대상으로 가브라5 신경세포 활성을 억제하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이 줄어들면서 지방이 축적되고 체중이 증가했다.

반대로 가브라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했다. 이는 곧 가브라5 신경세포가 ‘체중 조절 스위치’라는 뜻이다.

이어 연구팀은 가브라5 활성을 조절하는 게 비신경세포인 성상교세포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성상교세포 수가 많아지면 마오비(MAO-B)라는 효소가 나와 지속성 가바가 많이 생성돼 가브라5 가 억제됐다.

반대로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면 가브라5 가 활성화되고, 지방 조직 열

발생이 증가하면서 많이 먹어도 오히려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성상교세포는 별 모양을 띠고 있어 별세포라고도 부른다.

평소에는 뇌 신경세포에 영양분 등을 운반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뇌질환이 발생하면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고 기능도 변화한다.

연구팀은 “그동안 연구는 비만의 원인을 지방세포를 포함한 주변 조직에서 찾았으나

이번 연구는 비만의 원인이 뇌에 있음을 명쾌하게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또 KDS2010에 대해 내년부터 임상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DS2010은 마오비 효소를 억제하는 약이다.

연구를 이끈 이창준 단장은 “비만은 세계보건기구(WHO)가 21세기 신종 감염병으로 분류할

만큼 현대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KDS2010으로 식욕 억제 없이 효과적인 비만 치료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평균 4.7년 간 추적했다.

매년 한 번씩 방문해 자가보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공복혈당(FPG) 수치를 파악했다.

당뇨병 발병 여부는 공복혈당 수치가 7.0mmol/L(126mg/dL) 이상일 때로 정했다.

컴퓨터 및 통계 모델링을 통해 아스피린 섭취가 당뇨병 발병과 공복혈당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총 995명의 참가자가 당뇨병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아스피린 섭취군에서는 459명, 위약 섭취군에서는 536건명이었다.

아스피린 그룹이 위약군에 비해 당뇨병 발병 위험이 15% 낮게 나타났다.

또 공복혈당의 증가량도 아스피린 섭취군이 연간 0.006mmol/L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아스피린과 같은 항염증제가 건강한 노인에게서 당뇨병 발병을 예방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임의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면은 안 된다는 게 저자의 입장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