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물가 폭등에 흠 있는 못난이 과일 인기
과일 물가 폭등에 흠 있는 못난이 과일 인기
올해 과일 폭등이 새롭진 않았다. 금사과 파동은 지난해에도 있었다. 그런데도 놀라웠다.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 상승 폭 때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전년 동월 대비 사과는 71.0%, 귤은 78.1%, 배는 61.1% 올랐다.
이 정도 상승 폭은 무려 32년 5개월 만이다. 가격 폭등의 가장 큰 이유는 기후위기로 생산량이 줄어든 탓이다.
이번에는 정부 지원으로 겨우 소매 가격을 잡았다. 다만 수입량을 늘리는 등 단기적인 해결책이었다.
어쩌면 30대 직장인 김모씨가 근본적인 방안을 찾았는지도 모른다.
김씨는 “지난해부터 외관에 흠은 있어도 맛은 똑같은 못난이 과일을 사 먹고 있다”며 “지난달에도 사과 1.6kg을 약 1만 원으로 구입했다”고 했다.
이렇게 소비자 기준에 못 미치는 외관이거나 유통기한이 임박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농산물을 새로운 상품으로 유통하는걸 ‘푸드 리퍼브’라고 한다.
음식(Food)와 제품 공급(Refurbished)의 합성어다.
푸드 리퍼브로 소비자는 저렴하게 신선과일을 구매할 수 있고, 유통사는 제고·폐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 기후변화 속도도 줄일 수 있다. 최근 이런 푸드 리퍼브 시장이 커지고 있다.
못난이 과일, 강남에서도 찾는다
과일 물가 급등으로 푸드 리퍼브는 유통업계에서 주목받는 트렌드가 됐다.
실제로 못난이 과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던 플랫폼들은 크게 성장했다.
못난이 농산물 정기 구독 서비스 ‘어글리어스’를 운영하는 캐비지는 2021년 출시 3년 만에 누적 매출액 100억의 성과를 냈다.
특히 물가가 급등한 올해 1분기 신규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13%나 늘었다.
지난해 1월 출시한 ‘못난이마켓’은 1년 만에 매달 3만 명이 이용하는 플랫폼이 됐다.
쿠팡에서도 못난이 과일을 대량 직매입해 판매했고, 빠르게 동났다.
백화점에서도 못난이 과일 판매를 시작했다. 신세계백화점에서 먼저 2022년 못난이 과채를 판매했는데, 매우 성공적이었다.
소비자의 높은 참여로 2022년과 2023년 2년간 무려 약 25톤을 판매했다.
올해는 행사를 더 확대해, 판매 품목을 5종에서 11종으로 늘렸다. 일주일간 약 14톤이 팔렸고, 높은 판매율에 하반기에도 한 번 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뒤이어 대백프라자, 공영홈쇼핑, NS 홈쇼핑 등도 푸드리버프 행사를 진행했다.
특히 비싸고 좋은 상품 판매율이 높던 강남 상권에서도 못난이 과일 구매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전 세계 시장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사실 푸드 리퍼브는 프랑스에서 먼저 시작됐다. 2014년 프랑스 슈퍼마켓 체인 ‘엥테르마르셰(Intermarché)’가 “못생긴 당근?
수프에 들어가면 상관없잖아”, “흉측한 오렌지? 맛있는 주스로 만들어” 등 매우 신선한 문구를 내걸면서, 푸드 리퍼브 마케팅이 대성공을 거둔다.
3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 못난이 농산물을 사러 한 달 만에 무려 1300만명의 고객이 마트를 방문했다.
이때 푸드 리퍼브 열풍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미국에서는 월마트, 크로커 등 대형 유통업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농산물을 약 30~50% 저렴하게 판매했다.
영국에서는 못난이 농산물로 새로운 음식을 만든 후, 소비자가 가치를 느낀 만큼 음식값을 지불하도록
하는 ‘더 리얼 정크 푸드 프로젝트(The Real Junk Food Project)’레스토랑이 나오기도 했다.
이 레스토랑은 약 50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성과를 냈다.
덴마크에서도 시민단체 ‘단처지에이드’가 직접 운영하는 슈퍼마켓 ‘위푸드’에서 못난이 식품을 약 30~50% 저렴하게 판매한 후
수익을 저소득층 지원활동에 사용해 인기를 끌었다. 선한 영향력에 덴마크 왕세자비가 방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