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공원 여기저기에 해충 미국흰불나방 대거 출몰
한강공원 여기저기에 해충 미국흰불나방 대거 출몰
한강공원 여기저기에서 송충이처럼 생긴 해충인 ‘미국흰불나방’ 유충이 대거 출몰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와 농경지 과수목을 갉아 먹는 여름철 대표 해충이다.
몸길이 30mm 내외로 송충이와 닮았다. 40~50일 정도 활발히 활동하다가, 나방이 된 후 4~5일 정도 살다 죽는다.
산림청 국립과학원에 따르면 이 유충은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여름철 집중적으로 출몰한다.
그러나 올해는 9월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1~2도가량 높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10월까지 유충이 출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청은 지난 8월 말 경기, 충북, 경북, 전북 등 전국적으로 미국흰불나방 밀도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며
발생 예보 단계를 관심(1단계)에서 경계(3단계)로 올린 바 있다.
경계 단계는 외래·돌발 병해충이 2개 이상의 시, 군 등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거나, 50ha 이상의 피해가 발생할 때
내려진다(산림병해충 방제 규정 제6조). 미국흰불나방이 국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1958년 이후 처음있는 일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에 따르면 유충 세대수는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올해 개체수가 증가한 만큼 알 개수도 늘어나 내년에도 유충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흰불나방은 암컷 판 마리당 알을 평균 약 600개를 낳고 죽으며, 한 해에 2세대가 성충이 돼 알을 낳는다.
그러나 이번에는 3세대까지 부화 후 성충이 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을 완전히 방제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미국흰불나방은 활엽수잎에 알을 무더기로 낳고 벌레집 안에 숨어 활동하기 때문에 맨눈으로 찾기 어렵다.
게다가 한강공원은 상수도 보호구역이라 살충제 등 화학약품을 사용할 수 없다.
현재는 고압 살수로 해충을 떨어뜨린 뒤 정리하는 방법으로 방제가 진행되고 있다.
벌침에 쏘이면 따가움과 화끈거림, 피부가 붓는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쇼크나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증상은 아나필락시스 쇼크 반응으로 사람마다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특정물질로 인하여 쇼크현상이 오는 것을 말한다.
약물, 계란, 땅콩, 해조류, 과실류를 섭취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
증상으로는 가슴통증, 기침, 팔다리가 저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이 떨어지거나 의식을 잃기도 한다.
이 경우 환자를 숨 쉬기 편하게 눕히고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해준 뒤 다리를 높게 올린 자세로 병원으로 후송해야 한다.
벌침에서 2~3분간 독이 나오기 때문에 벌침을 빼야 하는데, 손톱이나 핀셋으로 제거하게 되면 남아있는 독이 한번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카드 등 얇고 단단한 물건을 이용해 긁어내야 한다.
벌침을 제거한 뒤에는 쏘인 부분을 흐르는 물에 씻어내고 얼음 등으로 피부를 진정시키는 것이 좋다.
산행 시에는 벌을 유인하는 향이 강한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향수와 밝은 색 옷은 피한다.
벌이 접근했다고 해서 쫓아내는 행동을 하면 위험하며,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으면서 낮은 자세를 취해 벌이 자연스럽게 날아가도록 유도해야 한다.
일반적인 집진드기에 물렸을 때에는 피부가려움증이 나타났다가 금방 호전되지만, ‘살인진드기’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걸리게 되면 6-14일의 잠복기를 거쳐 식욕감퇴,
복통, 구토 증상이 나타나며, 근육통, 의식장애, 경련, 혼수, 출혈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살인진드기는 현재까지 치료제나 예방백신이 없어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진드기는 대부분 풀이 많은 잔디밭이나 숲속에 서식하기 때문에 풀밭에 앉거나 누울 때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린다. 풀밭에서는 용변을 보지 말고 산길을 다닐 때는 등산로를 이용한다.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거나 해충방지 의류를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살인진드기는 5~8월에 활발히 활동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가급적 풀이 많은 지역에 가지 않는 것이 좋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긴옷을 입고, 집에 돌아오면 바로 옷을 털고 세탁한다.
살인진드기에 물리게 되면 피가 나고 딱지가 생기는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니 확인 즉시 병원에 가도록 한다.
살인진드기의 경우 10일 동안 피부에 붙어서 피를 빨아먹는데, 제대로 제거하지 못 할 경우 일부가
남아있게 되므로 가급적 병원에서 제거하도록 한다.
외출 후 피부에 따끔거리는 증상이 지속되면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