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속 폴리페놀 암 치매 부르는 염증 줄인다
커피 속 폴리페놀 암 치매 부르는 염증 줄인다
커피에 우유를 넣은 라테가 물만 넣은 아메리카노보다 건강하다.
커피 속 대표적인 항염증 물질인 폴리페놀의 효과가 우유를 넣었을 때 더 증진되기 때문이다.
커피에 풍부한 폴리페놀은 방향족 알코올인 페놀 그룹이 두 개 이상 결합해 있는 물질로, 과일·채소·씨앗 등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자연 발생 화합물이다.
염증을 방어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염증은 신체 이상이 생겼을 때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발현하는 면역 기제의 결과물로, 만성적으로 생기면 오히려 몸을 공격하는 역할을 한다.
류마티스관절염, 심뇌혈관질환, 암, 우울증, 치매 등을 중증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인다.
만성 염증의 원인은 세포 속 산화 스트레스다.
페놀의 수산기(-OH)가 산화를 방지해 산화 스트레스를 낮춘다.
페놀이 여러 개인 폴리페놀은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와 세포를 보호한다.
커피 속 폴리페놀 성분으로는 카페인, 클로로젠산, 다이테르펜 그리고 트리고넬린 등이 있다.
커피엔 생각보다 더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데
커피 한 잔으로 성인이 하루 음식으로 먹는 평균 폴리페놀 양의 절반을 섭취할 수 있다.
일본의 한 연구팀이 일본인을 대상으로 녹차, 우롱차 등 음료로 섭취할 수 있는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했는데, 커피가 평균 200g으로 가장 많았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녹차는 평균 115g, 홍차는 96g, 우롱차는 39g 정도였다.
폴리페놀만으로도 우리 몸에 매우 좋지만, 우유와 함께 섭취하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진다.
우유 속 단백질이 커피의 항염증 효과 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식품과학과 마리안 니센 룬드 교수 연구팀이 실험으로 증명했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에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발한 뒤 A그룹에는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을 합한 것을 넣었고 B그룹에는 폴리페놀만 넣었고 C그룹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았다.
그 결과,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을 함께 넣은 A그룹은 폴리페놀만 넣은 B그룹보다 염증이 두 배나 더 적었다.
연구팀은 실제로 커피에 우유를 넣어 확인했고,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항염증 효과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엔 룬드 교수는 “커피 속 폴리페놀과 우유 속 단백질의 항염증 반응은 굉장히 빨리 일어났다”며
“마찬가지로 단백질로 구성된 다른 식품에 과일 또는 채소를 결합했을 때 유익한 항염증 반응이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우유를 넣은 커피는 골다공증과 치아 변색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우유 속 칼슘 성분이 뼈 건강에 도움을 주고, 카제인 성분은 커피 속 탄닌에 의해 치아가 착색되는 것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