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젊은데 치료 가능성 낮은 탈모 특징은?
아직 젊은데 치료 가능성 낮은 탈모 특징은?
원형탈모는 누구나 생길 수 있다 그런데 탈모 면적이 넓거나 발병 시점이 어릴수록 치료 예후가 나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원형탈모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탈모반이 생기는 질환이다.
세포독성 T세포가 자신의 모낭(모발의 뿌리)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이기도 하다.
재발이 흔하고, 심하면 전두탈모와 전신탈모로 이어질 수 있다.
탈모반이 작을 때는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도포한다.
탈모 면적이 넓은 경우 단기간 감량 경구 스테로이드를 통해 초기에 모발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하는 데 그동안 이러한 치료에 대한 예후 인자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아주대병원 피부과 최지웅 교수 연구팀(한희정 전공의)은 원형탈모 치료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22년 5월 31일까지 8주 감량(약을 서서히 줄이는) 메틸프레드니솔론 치료를 받은 원형탈모 환자 136명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8주간의 치료 후 첫 번째 병원 방문 시점에서 기존과 비교했을 때 원형탈모
중증도의 변화를 비롯해 인구학적 특성, 다양한 검사 결과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6.7세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75%는 기존 대비 50% 이상 탈모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다양한 요인의 다변량 분석 결과, 어린 나이(15세 이하)와 광범위한 탈모(두피의 50% 이상 탈모) 두 가지가 요인은
8주 감량 메틸프레드니솔론 치료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인자로 작용했다.
이외에 자가면역질환 관련 항핵항체, 호중구 대 림프구 비율, 헤모글로빈, 철분, 비타민 D 등의 혈액검사 수치들은 유의한 예측 인자가 아니었다.
재발과 관련해서는 유일하게 ‘낮은 비타민 D 수치’가 예측 인자로 확인됐다.
또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들 중 28.4%가 치료 중단 후 평균 5.5개월 내 재발을 경험했으며,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의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어린 나이라는 인자는 개인의 유전적 민감도와 연관돼 치료에 저항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중증 원형탈모는 더 심한 모낭 주위 염증에 의한 것으로 경구 스테로이드뿐 아니라 다른 치료법에서도 효과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의 저자 최지웅 교수는 “원형탈모 치료 시 어린 나이와 중증 탈모가 나쁜 예후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새롭게 확인했다”며
“이에 이들 환자에서 경구 스테로이드를 신중히 투여해야 하고 비타민D 수치는 스테로이드를 복약한 원형탈모 환자의 재발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